본문 바로가기

EdTech Now10

일본 학교의 보건실이 변화하고 있다 EdTech Now 지난 1월 9일, 일본 시가(滋賀)현 모리야마(守山)시에 위치한 리츠메이칸모리야마 중·고등학교가 ‘메타버스 디지털 보건실’을 도입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고민이나 불안을 호소하는 학생들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가운데, 타인의 시선에 신경쓰지 않고 안전하게 상담받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 것이다. 하루 평균 5~60명의 학생들이 보건실에 방문하며 휴식을 취하고 있다. Backstory 코로나19 팬데믹은 일단락 되었지만, 그 후유증은 여전하다. 세계 곳곳에서 정신건강 문제를 겪는 학생들의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2024년에도 학생 웰빙 및 정신건강이 교육 분야의 핵심 키워드로 꼽혔다. 여러 국가들이 학생 웰빙 정책을 속속 내놓는 가운데, 일본은 디지털 기술을 결합하여 정신건강.. 2024. 2. 2.
'어린이용 개인정보 처리방침' 공개한 네이버 커넥트재단 14세 미만 아동들도 이해하기 쉬운 '어린이용 개인정보 처리방침' 최근 네이버 커넥트재단이 만 14세 미만 아동들의 이용이 많은 쥬니버(쥬니어 네이버), 엔트리, 소프트웨어야놀자 등의 서비스에 대해 '어린이용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공개했습니다. 어린이용 개인정보 처리방침은 성인용 개인정보 처리방침과 달리, 만 14세 미만의 아동들도 이해하기 쉬운 언어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이 큰 특징인데요.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를 통해 해당 내용의 적정성을 검증받은 후, 이에 관한 보고서를 누구나 투명하게 열람할 수 있도록 함께 공개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쥬니버의 어린이용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살펴보았는데요. '개인정보'의 의미와 범위부터 쥬니버가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4단계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글·그림으로 제공.. 2023. 9. 4.
CLOVA X : 네이버가 만든 생성형AI의 등장 2023년 8월 24일, 세계에서 세 번째 생성형AI가 공개되었습니다. 바로 네이버가 만든 CLOVA X(클로바 X)인데요. 어딘가 친근한 이름이지 않은가요? 맨 처음 대중들에게 네이버 인공지능 '클로바'의 이름을 알린 건 아무래도 인공지능 스피커 아닐까 싶습니다. 네이버 라인 캐릭터의 모습을 딴 귀여운 스피커에서 시작해 이제는 전 세계에서 세 번째로 생성형AI를 완성해 낸 모습을 보니 네이버 인공지능 팀의 저력이 느껴집니다. 그동안 네이버 클로바팀이 참가하는 인공지능 컨퍼런스나 박람회를 여럿 다녀왔었는데요. 네이버에서 CLOVA X를 빠르게 세상에 내놓을 수 있었던 것은 아무래도 기존 네이버가 가진 방대한 텍스트 데이터 덕분이라고 생각됩니다. 우리나라에서 네이버의 검색 포털 점유율은 약 64%에 달하는.. 2023. 8. 29.
학생 테크 팀 : 학교 커뮤니티와 학생들의 역량을 함께 성장시키는 방법 전 세계적으로 공교육의 디지털 전환이 빠르게 이루어지면서, 많은 국가들이 '1인 1 스마트 기기 보급 사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는 모든 학생에게 노트북·태블릿 등 학습에 필요한 기기를 공급함으로써 디지털 시대의 학습권과 디지털 형평성(digital equity)을 보장하고자 하는 것인데요. 최근 몇몇 학교들에서는 이렇게 공급되는 디지털 기기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학생들이 직접 학교 커뮤니티에 기여하며 역량을 신장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학생 테크 팀(Student Tech Teams)'을 운영하고 있다고 합니다.학생 테크 팀의 역할 기사에서 소개된 사례인 미국 플로리다 주 Mater Academy Charter Middle/High School(Verizon Innovative Learning .. 2023. 8.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