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dTech Now

CLOVA X : 네이버가 만든 생성형AI의 등장

by etdev_chohui 2023. 8. 29.

사진 출처: CLOVA X 홈페이지

 

2023년 8월 24일, 세계에서 세 번째 생성형AI가 공개되었습니다. 바로 네이버가 만든 CLOVA X(클로바 X)인데요. 어딘가 친근한 이름이지 않은가요?

 

맨 처음 대중들에게 네이버 인공지능 '클로바'의 이름을 알린 건 아무래도 인공지능 스피커 아닐까 싶습니다. 네이버 라인 캐릭터의 모습을 딴 귀여운 스피커에서 시작해 이제는 전 세계에서 세 번째로 생성형AI를 완성해 낸 모습을 보니 네이버 인공지능 팀의 저력이 느껴집니다. 

 

그동안 네이버 클로바팀이 참가하는 인공지능 컨퍼런스나 박람회를 여럿 다녀왔었는데요. 네이버에서 CLOVA X를 빠르게 세상에 내놓을 수 있었던 것은 아무래도 기존 네이버가 가진 방대한 텍스트 데이터 덕분이라고 생각됩니다. 우리나라에서 네이버의 검색 포털 점유율은 약 64%에 달하는데요. 클로바팀은 생성형AI의 등장 전부터 사람들이 네이버 포털에 입력하는 검색어, 블로그 글, 카페 글, 지식iN 등 모든 텍스트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하나의 인공지능에 학습시키는 작업을 계속하고 있었습니다. 당시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글 주제, 목적에 맞게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텍스트를 생성한 후, 사용자가 직접 파라미터를 미세하게 조정함으로써 원하는 결과물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준비 중이었는데요. 아마 이 서비스를 기반으로 CLOVA X를 내놓은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사진 출처: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공식 블로그
사진 출처: CLOVA X 홈페이지

CLOVA X의 3가지 기능 

스킬 Skill

CLOVA X의 대표적인 3가지 기능 중 하나는 '스킬'인데요. 생성형AI의 대표주자인 ChatGPT가 가지는 단점을 극복하고 '정보의 최신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입니다. 스킬은 CLOVA X와 다양한 네이버 서비스 및 외부 앱들을 실시간으로 연결함으로써, 사용자가 입력한 질문에 대해 전문적이고 최신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디스커버리 Discovery

시작한 대화가 자동으로 저장되는 ChatGPT와 달리, CLOVA X에서는 '디스커버리'라는 기능을 따로 추가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대화만 저장될 수 있도록 했습니다. 개인정보 보호의 차원에서 설치한 기능인 것 같은데요. 개인적으로는 긍정적으로 생각합니다. 기존 ChatGPT에서 일회성 대화 목록을 정리하기가 번거로웠거든요.

 

커넥터 Connector

아직 공개되지 않은 '커넥터'는 CLOVA X와 내가 가진 문서 정보를 연결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곧 CLOVA X도 이미지 및 영상 인식, 음성 인식 등 다양한 멀티모달을 지원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아마 업데이트를 통해 멀티모달이 가능해지면, 사용자가 자신의 질문에 CLOVA X가 참고할 수 있는 이미지, 파일 등의 문서를 첨부함으로써 더욱 정확하고 유용한 답변을 얻을 수 있게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다만 문서 업로드가 가능해지는 만큼 학교나 기업에서의 개인정보·민감정보 보호에 더욱 주의해야 하겠습니다. 

 


사진 출처: CLOVA X 홈페이지

 

저는 사전 대기 등록을 통해 CLOVA X를 바로 사용해 볼 수 있었는데요. 전반적으로 대화창 인터페이스가 매우 세련되고 깔끔합니다. 하얀색 배경에 보라색 그라데이션 색상을 혼합하여 무언가 미래기술(?)같은 느낌을 살린 것 같구요. 대화 목록 관리, 스킬 온오프 등 기능들을 쉽고 직관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전반적인 답변 속도는 ChatGPT보다 훨씬 빠른 것으로 생각됩니다. 질문을 입력하면 한참 기다려야 했던 ChatGPT와 달리, 질문을 입력한 후 1-2초 후 바로 답변이 생성되기 시작하여 답답함이 없습니다.

 

또한 가장 큰 장점이 다량의 한국어 텍스트 데이터를 학습시킨 한국어 특화 생성형AI라는 점인데요. ChatGPT4도 한국어 질문을 이해하고 대화를 나누기에 큰 어려움이 없었지만, CLOVA X는 한국어 대화의 맥락을 이해하고 답변하는 능력이 더욱 뛰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일상적인 대화 수준에서는 ChatGPT와의 큰 차이를 느끼지는 못했지만요. 또한 인터페이스와 기능 전체가 한국어로 설정되어 있다는 측면에서 국내 사용자들에게 접근성이 높은 생성형AI가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사진 출처: CLOVA X 홈페이지

현재 CLOVA X를 활용해 새로운 글쓰기 경험을 체험해 볼 CLOVA for Writing 사용자를 모집한다고 합니다. 이는 네이버에서 블로그, 카페 등의 글을 작성할 때 CLOVA X를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인데요. 인공지능이 기존 나의 문체나 말투를 자동으로 분석하여 '마치 내가 쓴 것처럼' 새로운 글을 작성해 준다고 합니다. 네이버 플랫폼에서 글쓰기를 즐겨 하시는 분들이라면 효율적으로 글을 쓸 수 있는 좋은 기능이 될 것 같습니다. CLOVA X 공식 홈페이지에 가시면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